▼ Why ? What ?
뭔가를 공부할 땐 항상 기초부터 이해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는데, 작년엔 무작정 프로젝트를 시작한 감이 있었어서 중간중간 이게 왜 필요하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아 답답한 느낌이 있었다. 그래서 이번 여름 방학엔 원초적인(?) 개념들에 대해서 공부해보면서 기반을 최대한 탄탄히 다져놓고 프로젝트를 시작해보고 싶었다. 그래서 종강 후 공모전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스프링과 JPA에 대해 빨리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었다.
우선 스프링이 대체 왜 등장하게 됐고, 스프링이 객체 지향 설계를 잘할 수 있게 어떻게 도와주길래 스프링이 현대의 대표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기 위해 "김영한" 강사님의 "스프링 핵심원리(기본편)"이라는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고, 완강 후에 공부한 내용을 짤막하게 노션에 정리해봤다.
▼ "스프링 핵심원리(기본편)" 요약 정리
요약 정리 링크 - https://www.notion.so/5135b1fbb6c140f9a91d5aa449de9add?pvs=4
스프링 핵심원리(기본편) 요약 | Notion
1.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
thin-azimuth-2a9.notion.sit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