▼ Calculus (미적분) SciPy 파이썬 기반의 오픈소스 계산 툴이다. Matpolotlib.pyplot Equation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xs = [x for x in range(-4, 10)]ys = [0.1*x**3 - 0.8*x**2 - 1.5*x + 5.4 for x in xs]plt.plot(xs, ys, 'r-')plt.show() plot([x], y, [fmt], …): 이 함수는 x에 대한 y를 선과/또는 마커로 표시. 'fmt' 문자열을 통해 색상, 마커 스타일, 선 유형 등의 기본 형식을 정의 가능.hist(x, bins=None, range=None, …): 이 함수는 히스토그램을 그려낸다.. 배열 x를 받아 데이터를 구간별로 나눕니다...
▼ Python: Basic & Intermediate Python Interpreted, high-level, general-purpose programming language(+) Dynamically-typed ➜ Run-time에 타입이 결정된다. 즉, 타입을 미리 정의해줄 필요 X(+) garbage-collected ➜ 메모리 관리를 알아서 해준다.(+) batteries-included ➜ 웬만한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이 다 있다."Design philosophy"➜ Code readability, 코드가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아야 한다 ! ➜ '하위 호완성(backward-compaitble)' 을 잘 지원 X( 그래서, 파이썬은 v3.0을 써야한다. )➜ Python은 '실용적인' 프로그래밍..
▼ Open-source Software Motivation과학적인 혹은 학문적인 성과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무료로 공유받고 사용할 수 있다.➜ 소프트웨어도 그렇게 공유되기 시작 ! HistoryGNU Project(GNU is Not Unix)➜ 무료 자유(free) 소프트웨어들을 말한다.ex) GCC(GNU Compiler Collection), GIMP, GTK(GIMP Toolkit), GNOME, R, ...➜ GPL license Linux (GNU Project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례)➜ 리눅스 커널(kernel)을 기반으로 하고 Unix와 유사한 오픈 소스 OS.➜ Debian, Ubuntu, Android, Chrome OScf. BSD Unix ➜ FreeBSD ~ macOS, ..
▼ Why ? What ? 이번 주 "Database" 강의에선 데이터베이스 강의에서 다룰 것이라 생각하지 못했던 내용들을 배웠다. 강의 내용의 주제는 "Physical Storage Systems" 였는데, 간단히 말하면 SSD나 HDD 같은 하드웨어가 어떠한 원리로 작동하는지를 배우는 것이었다. 교수님께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건 SQL 같은 것이 아니라 SQL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하셨다. ("데이터 통신" 시간에도 많이 들었지만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가질 수 있는 차별점은 CSS이기 때문에 수업을 들을 때도 이점을 유의하며 들어야 할 것 같다.) 그래서 그 중에 지금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할 수 있는 SDD, 즉 'Flash memory' 에 데이터가 ..
▼ Why ? What ? 이번 주 "Database" 강의에서 DB 모델링(Modeling)에 필요한 과정, 그리고 'E-R Model' 에 대해서 배웠고 이러한 E-R Model을 다이어그램(Diagram)으로 어떻게 작성(ERD)하는지에 대해 배웠다. 앞서 말한 개념들은 전부터 공부하려고 했던 파트들이었는데 계속 미루다보니.. 이번 기회에 기말 시험도 대비할 겸 강의 내용을 복습하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. ▼ Database Modeling (Design Phases)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? 간단히 말해서,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. Initial phase 잠재적(prospective) 사용자가 필요로 할 데이터, 즉 요구사항을 충분히 고려한다. Second phase 개념..
▼ Why ? What ? 이번에 처음으로 팀원들과 웹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어서 데이터베이스 뭔지, 그리고 Database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제대로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. (+) "Database" 강의에서 배운 Relational model에 대한 내용도 추가적으로 정리했다 ! ▼ 데이터베이스 (Database) Database (DB) 데이터를 조회하고 저장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(Database System)이 왜 필요한가? 데이터의 중복성(redundancy)과 비일관성(inconsistency)을 해결 ! ➜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. ( 이런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규칙이 존재하긴 한다. ) 데이터에 접근(access)하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