▼ 백준 장학금을 신청하게 된 이유
이 "목표 달성 백준 장학금"은 1달 동안의 목표를 3가지 이상 설정하고 달성하여 개인 SNS or 블로그에 작성하면, 성공한 사람들끼리 총 장학금 500만원을 1/n로 나눠 받는 프로그램이다.
이번년도 초에 군복무를 마치고 코로나 이후 첫 대학생활을 시작해보니 개발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. 대학생활을 좀 해보면서 서버 측 기술 담당한다고 볼 수 있는 백엔드 개발자 되는 것에 관심이 생겼고,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공부(Java, 알고리즘, 데이터베이스, 웹서버, Spring 등)들을 찾아서 하는 중이었다.
요즘 들어선, 개념 공부만 할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이 훨씬 가치있고, 협업 경험을 쌓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고 몸소 느끼고 있다. 그래서 방학부터 웹 개발 프로젝트와 학생 때부터 해보고 싶었던 게임 개발 프로젝트 두 개를 진행하고 있다.
그러다 이번 대학교 2학년 1학기부터 계속해서 진행하고 있는 Java 스터디를 같이 하고 있는 누나가 방학동안 같이 도전해보자고 해서 "목표 달성 백준 장학금"이라는 백준 장학금 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되었다. 한 달 동안 달성할 목표를 설정하고 성공했을 때 돈도 받을 수 있으니 방학동안 자기계발에 대한 의지를 키우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신청하게 되었다.
▼ 한 달간의 목표와 계획 공유
1. 1일 1알고리즘 문제 풀기
- 학교에서 수강한 [PCCP 특강]에서 풀어보라고 제시해주신 문제들을 하루에 하나씩 해결하고 해결하면서 새롭게 배운 내용들 정리하기
2. 전공 개발 서적 "자바의 정석.ver2" 읽고 스터디한 내용 블로그에 작성
- 해당 서적을 읽고 1주일에 한 챕터씩 공부하고 스터디한 내용 블로그에 정리하기
3. [웹 개발, 백엔드] 강의 하나를 수강하고 블로그에 배운 것들 정리하기
- Inflearn에서 "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"를 한 달 동안 수강하고 블로그에 해당 주차에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
▼ 목표 달성 백준 장학금에 임하게 된 소감
한 달이라는 어떻게 보면 길기도 하고 짧기도 한 기간인데, 이 기간동안 적어도 이정도까지는 공부하자는 생각으로 꾸준하게 빼먹지 않고 달성할 수 있을 만한 목표를 설정했던 것 같다. 그렇기 때문에 개강까지 남은 한 달 동안 이 목표는 무조건 달성할 것이고, 이 목표 외에도 방학이라는 시간을 남들과 차별점을 가질 수 있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겠다는 내 더 큰 목표를 위해 쓰도록 노력해야겠다.
(그리고 올해에 과 선배들을 통해 배운 것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, 내년에 나도 후배들한테 도움될 만한 개발 관련 지식을 알려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하고 싶다)
▼ 1주차
1일 1알고리즘 풀기
7/24 (월) - 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0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0]
▼ Why ? 알고리즘은 문제가 제시한 상황에 맞게 나의 생각을 소스코드로 구현(Implementation)하는 능력을 먼저 키워야 한다고 한다. 구현해내는 문제의 대표적인 유형들 중 하나가 시뮬레이션(Simulat
ukym-tistory.tistory.com
+ 관련 개념 정리 (추가)
[PCCP] 시간 복잡도 ( Time Complexity )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간 복잡도 ( Time Complexity )
▼ Why ? 이번에 프로그래머스에서 진행했던 코딩역량전문인증(PCCP) 대비 특강에서 배운 내용들을 복습하고자 매일 차례차례 정리하고자 한다. 일단 2학년 1학기에도 자료구조 수업에서 배웠던
ukym-tistory.tistory.com
7/25 (화) - 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1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1]
▼ Why ? 이전 문제 [웅덩이]와 같은 구현(Implementation) - 시뮬레이션(Simulation) 문제이지만, 이전 문제보다는 생각해야 할 부분이 좀 더 추가된 것 같아서 풀어보았다. ▼ 안전지대 문제 정보 코딩테
ukym-tistory.tistory.com
7/26 (수) - 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2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2]
▼ Why ? 이전 문제 [안전지대]와 같은 구현 - 시뮬레이션 문제이고, 이번 문제는 이전 문제와 달리 실제로 개체를 움직이는 상황이 주어져 그 개체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풀어보았
ukym-tistory.tistory.com
7/27 (목) - 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3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3]
▼ Why ? 이번 문제도 구현 - 시뮬레이션 문제이고, 이전에 풀었던 문제 [청소 로봇]처럼 개체를 직접 이동시키는 상황을 구현해내는 유형이다. 주어진 상황에 맞게 알고리즘을 구현해내는 능력을
ukym-tistory.tistory.com
7/28 (금) - 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4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4]
▼ Why ? 이번 문제도 구현 - 시뮬레이션 유형의 문제이고, 격자 밖으로 나가는 경우만 고려하면 됐던 이전 문제들과 달리 장애물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구현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이 좀 더 추가
ukym-tistory.tistory.com
7/29 (토) - 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5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시뮬레이션 (Simulation) [5]
▼ Why ? 이번 문제도 구현 - 시뮬레이션 유형의 문제로, 문제가 주어준 상황에 맞게 올바른 결과값을 출력하도록 구현해내면 된다. 하지만 지금까지 풀었던 구현 유형의 문제들은 하나의 개체만
ukym-tistory.tistory.com
7/30 (일) - [PCCP] 문자열과 해시함수 [0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문자열과 해시함수 [0]
▼ Why ? 이제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문제를 풀어보려고 한다. 일단 해시함수를 ▼ 학급 회장 문제 정보 학급 회장을 뽑는데 후보로 기호 A, B, C, D, E 후보가 등록을 했습니다. 투표용지에
ukym-tistory.tistory.com
+ 관련 개념 정리 (추가)
[PCCP] 해시 테이블 (Hash table) & 충돌 해결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PCCP] 해시 테이블 (Hash table) & 충돌 해결
▼ Why ?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 전에, 해시 테이블이 무엇인지와 해시 함수를 통해 발생하는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▼ 해시 테이블 Ha
ukym-tistory.tistory.com
"자바의 정석 . ver2" 정리
7/24 ~ 7/30 - [JAVA] 쓰레드 (Thread)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JAVA] 쓰레드 (Thread)
🌑 프로세스 (Process) & 쓰레드 (Thread) ✔️ 프로세스 (Process) 🔹 프로세스 (Process) ?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OS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자원(데이터, 메모리)을 할당받아 프로세스가 된다 이 프로세스
ukym-tistory.tistory.com
Spring 강의 수강 후 배운 내용 정리하기
7/24 ~ 7/30 - [Spring Boot] 스프링 입문 강의 정리 & 공부 [0] — Uykm_Note (tistory.com)
[Spring Boot] 스프링 입문 강의 정리 & 공부 [0]
▼ Why ? 이번에 처음으로 웹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, 이번 프로젝트에서 백엔드는 개발 Framework로 스프링(Spring)을 다루기로 결정해서 스프링을 공부하기 시작했다. 먼저, Spring이 무엇
ukym-tistory.tistory.com